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장애인(장애우) 주차장 얌체 주차 계도하기
    자유 2008. 7. 8. 13:36
    반응형
    사용자 삽입 이미지


    최근 MBC [현장출동] 장애인 주차장 얌체 주차에 대해서 뉴스가 나왔었다.

    내가 사는 아파트에도 얌체족들이 있다.

    장애인 주차장에 비장애인이 주차하는것..

    문자를 몇 번 넣으면 차를 다른곳에 주차하는 사람도 있지만 아닌 사람도 있고 어떤 얌체들은 아예 전화번호도 앞 유리에 두지 않는다.

    긁거나 차를 파손하는건 너무한것 같고 생각해낸게 바로 요것..

    이 이미지를 프린트해서 와이퍼 앞에 꽂아 놔 볼 생각이다.

    장애인 스티커를 받지 못해 주차 했을 수도 있으니 그런 사람이라면 좋은 표지 하나 얻게 된거고 아니라면 뭐..

    오늘 부터 해봐야 겠다.

    장애인을 배려 합시다.


    장애인 :
    장애인, 장애우, 장애자는 신체 장애와 정신 장애를 비롯해 여러 이유로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이른다. 크게 태어났을 때부터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선천적 장애인과 사고 등으로 나중에 장애를 갖게 된 후천적 장애인으로 나눌 수 있다.

    장애인, 장애우, 장애자는 일반적으로 모두 같은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, 사람들마다 쓰는 용어는 서로 다르다. 특히 한때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장애우라는 용어를 쓰자는 제안이 많이 일어났으나 장애우라는 용어는 1인칭으로 쓸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, 단어 자체의 뜻이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제한한다는 주장도 있었다. 또한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는 장애인들이 장애우라는 용어를 싫어한다고 지적하였다.[1]

    한편 영어권에서는 전통적으로 Disabled 디세이블드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. 한때 Handicapped 핸디캡트가 더욱 정치적으로 올바른 용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, 장애우와 비슷한 이유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. 영어권의 장애인들은 Handicapped라는 용어를 모욕으로 느끼기도 한다.[2] 그들은 다리에 장애가 있는 경우 휠체어를 탐으로써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handicapped가 아니라고 생각한다. 일반적으로 영어권에서 장애인을 뜻하는 용어로는 Disability 디세이블리티 또는 Disabled를 쓰며, 이 표현이 수식할 사람(Person)이 앞에 붙는 것이 적절한 표현으로 간주된다. 이를테면 a Person with Disability가 있다.

    출처 : 위키백과(http://ko.wikipedia.org/)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